- 2025 Cyber Security Predictions: Navigating the Ever-Evolving Threat Landscape
- Not Just Another List of Top 10 Metrics You Should Measure
- My new favorite headphones for swimming come bundled in a unique charging accessory
- Why I recommend this Windows laptop to creatives and professionals - even if it's meant for gamers
- This HP laptop may be the closest thing to a MacBook Pro for Windows users - and I don't mind it
생성형 AI 넘어 '에이전트 시대' 조망··· CIO코리아-데이터이쿠, 조찬 행사서 AI 혁신 전략 공유

행사는 데이터이쿠 김종덕 지사장의 환영사로 시작됐다. 김종덕 지사장은 “IT 업계에서 30년 가까이 일해오며 메인프레임, 클라이언트-서버, 클라우드, 가상화 등 여러 흐름을 지켜봤지만, 이제는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거대한 AI의 물결이 다가오고 있다”라며 “이제 AI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으며, 하루라도 먼저 AI를 시작하는 기업이 더 큰 경쟁력을 확보하게 될 것”이라고 강조했다. 이어 “데이터이쿠는 프랑스에서 시작해 현재는 미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AI 플랫폼 기업으로, 국내에서도 빠르게 생태계를 넓혀가고 있다”라고 소개했다.
첫 번째 세션에서는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부 김대식 교수가 ‘AI 시장 지배력의 시대’를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. 김대식 교수는 “AGI는 더 이상 SF가 아니며, 시장 지배력과 자본주의 구조를 재편할 수 있는 기술”이라며 “생성형 AI에 이어 다가올 다음 단계는 에이전틱 AI와 피지컬 AI”라고 설명했다. 특히 김대식 교수는 “AGI는 인간의 지적 노동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, 가장 먼저 AGI를 확보한 국가나 기업이 글로벌 시장의 지배력을 갖게 될 것”이라며 “이제는 기업들도 선형적 사고에서 벗어나 특이점(Singularity) 시대의 생존 전략을 고민해야 할 때”라고 말했다.
두 번째 세션에서는 데이터이쿠의 김영석 상무가 나서 기업 내 AI 도입의 실효성과 수익화 전략에 대해 다뤘다. 김영석 상무는 AI 성공을 위한 핵심 요소로 인력, 기술, 유스케이스를 꼽으며, 플랫폼을 통해 각 역량을 키울 수 있다고 조언했다.